[이슈폴폴] 여론으로 보는 정국 현안과 6월 첫 째주 민심은?<br /><br /><br />여론으로 풀어 보는 정치 이슈, ,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 센터장 나오셨습니다.<br /><br /> 지난 2일 이재명 경기지사가 2차 재난지원금 예산 편성을 정부에 건의했습니다. 뒤이어 민주당 내부에서도 2차 재난지원금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는데요. 일단 국민 여론은 추가 지급 찬성이 과반을 넘었습니다만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.<br /><br /> 이번에는 연령별 답변을 좀 보겠습니다. 50대까지는 찬성이 과반을 넘는데요. 60대 이상은 과반에 못 미치고 있거든요.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?<br /><br /> 60대와 70대도 의견이 갈립니다. 60대는 반대가 더 높고 70세 이상은 찬성이 5%p 정도 높은데요. 높은 연령층에서도 이런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으로 보십니까?<br /><br /> 이번엔 대통령 국정수행평가입니다. 긍정평가가 1p% 떨어지면서 2주 연속 하락하고 있는데요. 이미 고점을 한번 찍었기 때문에 계속 상승세를 유지하는 건 쉽지 않을 것 같거든요. 앞으로의 그래프는 어떻게 예상하십니까?<br /><br /> 하지만 계속해서 긍정평가가 하락하는 건 당연히 경계해야할 것 같은데요. 현재 상황에서 어떤 점을 주의해야한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이번에는 정당 지지도 변화 살펴보겠습니다. 민주당과 통합당 모두 동반 상승했는데요. 최근 여야가 21대 국회 원 구성을 놓고 기싸움을 벌이고 있지 않습니까. 그에 따른 결집 효과가 정당 지지도까지 영향을 주는 걸까요?<br /><br /> 이번 주 통합당의 지지도 상승을 이끈 건 20대로 보입니다. 20대에서 6.9%p 올랐는데요. 최근 4주간 20대 지지도 중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. 특별히 통합당이 20대의 마음을 흔든 계기가 있었던 걸까요?<br /><br /> 그런가하면 4.15 총선 전후로 10% 미만이던 무당층이 슬금슬금 오르더니 어느새 14%가 넘었습니다. 앞으로 무당층의 비율은 어떻게 예상하십니까?<br /><br /> 지난달 30일 문을 연 21대 국회, 하지만 18개 상임위원장 배분을 두고 여야는 팽팽한 기 싸움을 벌이고 있는데요. 국민의 56%는 국회 관례대로 합의해서 구성해야한다는 의견이었습니다. 통합당의 주장에 조금 힘이 실리지 않을까 싶은데요?<br /><br /> 어떤 특정 정당에 힘을 실어준다기 보다는 일방적인 힘을 과시하지 말고 여야가 잘 협의했으면 좋겠다. 이런 의미가 담긴 결과 아닐까 싶은데요?<br /><br /> 최근 민주당 이수진, 김병기 의원이 국립현충원에 묻힌 친일파들의 묘역을 이장하는 법안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찬반 논란이 일고 있는데요. 우리 국민 절반 이상인 54%는 "공이 있더라도 친일행위자는 현충원에서 이장해야 한다"는 의견이었습니다. 이 조사는 대다수의 지역, 연령, 성별에서 찬성에 손을 들어줬는데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